본문 바로가기
IT | 기술도 결국 도구다

처음 GPT를 쓰는 사람을 위한 완전 기초 가이드 (검색과 GPT의 차이까지)

by flowseeker 2025. 3. 28.
반응형

 

GPT, 처음 쓰는 사람을 위한 사용법 가이드

검색만 해오던 분들에게, 이제는 GPT를 ‘생성형 도구’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지난주까지 지원안되던 한글이 chat gpt에서 지원 됩니다. 번역체 같지만 일부러 수정하진 않았어요. AI의 발전속도는 무서울 지경이네요


1. 검색과 GPT는 어떻게 다를까요?

자기소개 작성

  • 검색: “영어 자기소개 예시” → 블로그 글 여러 개를 비교해 직접 구성해야 함
  • GPT: “학생용, 면접용, 여행용 영어 자기소개 3가지 써줘” → 상황에 맞춘 문장을 즉시 생성

레시피 찾기

  • 검색: “토마토 파스타 만들기” → 다양한 블로그나 유튜브 영상 검색
  • GPT: “토마토, 마늘, 면만 가지고 만들 수 있는 간단한 파스타 레시피 알려줘” → 가진 재료에 맞춰 바로 설명

여행 일정

  • 검색: “제주도 2박 3일 여행 코스” → 각기 다른 정보를 보고 직접 조합
  • GPT: “자연경관 위주로 제주 2박 3일 일정 짜줘. 도착은 오후 2시고 렌터카 사용해” → 조건에 맞춘 일정표 즉시 제공

글쓰기 수정

  • 검색: “자기소개서 잘 쓰는 법” → 팁을 참고해 스스로 적용해야 함
  • GPT: “이 문장 자연스럽게 고쳐줘: ‘저는 책임감이 강한 성격입니다.’” → 자연스럽게 다듬은 문장 바로 제시

고민 상담

  • 검색: “직장 상사와 갈등 해결 방법” → 다양한 조언을 직접 비교하고 정리
  • GPT: “상사랑 자꾸 충돌하는데 너무 간섭을 많이 해. 어떻게 대응할까?” → 상황을 이해하고 맞춤형 조언 제공

 

2. GPT를 잘 활용하려면 이렇게 해보세요

GPT는 ‘검색창’이 아닌 ‘대화형 도구’입니다.
내가 원하는 답을 직접 생성해주는 도구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1) 질문은 말하듯이 써보세요

GPT는 키워드가 아니라 ‘문장’을 이해합니다. 질문을 자연스럽게 적는 것이 더 좋은 결과로 이어집니다.

  • ❌ 키워드식: "면접 질문"
  • ✅ 말하듯이: “처음 면접을 보는데, 자주 나오는 질문이랑 답변 예시를 알려줘”

2) 구체적으로 말할수록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조건, 대상, 톤 등을 명확히 해주면 원하는 형태로 바로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예: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줘”
  • 예: “10줄 이하로 요약해 줘”, “표로 정리해 줘”

3) GPT에게 역할을 지정해 보세요

“너는 지금 ○○○야”라는 식으로 역할을 주면, 답변의 톤과 방식이 더 전문적으로 바뀝니다.

  • 예: “너는 지금 마케팅 기획자야. 신제품 홍보 문구를 써줘”
  • 예: “너는 취업 컨설턴트야. 자기소개서 문장을 고쳐줘”

4) 마음에 들지 않으면 계속 수정 요청해 보세요

GPT는 결과를 처음에 완벽하게 주지 않습니다. 원하는 방향을 계속 피드백하면 개선됩니다.

  • 예: “좀 더 짧게 써줘”, “조금 더 친근한 표현으로 바꿔줘”
  • 예: “유머를 살짝 섞어서 다시 써줘”

5) 이전 대화를 기억하니까 이어서 말해도 됩니다

동일한 세션 내에서는 이전 맥락을 기억하기 때문에 대화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 예: “아까 만든 문장, 좀 더 정중하게 바꿔줘”
  • 예: “이전에 정리한 표에 항목 하나만 추가해 줘”

6) 정보 검색을 넘어서 ‘생성’까지 가능

GPT는 단순 정보 요약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창작 활동도 도와줍니다.

  • 활용 예시: 블로그 글 초안, SNS 문구, 기획안 작성, 콘텐츠 아이디어 정리

마무리: 검색과 GPT의 가장 큰 차이

검색은 필요한 정보를 ‘찾아보게’ 해주는 도구라면,
GPT는 내가 원하는 결과물을 ‘직접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면, GPT는 더 이상 막연한 AI가 아니라,
당신의 생각을 현실로 옮겨주는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우리 같이 잘 사용해 보자고요.

 

 

반응형